1. 금감원의 증시과열 보고서?

21년1월11일 부터 12일까지 2일 연속 개인의 엄청난 자금 투입에도 증시는 하락하였습니다..

21년1월11일 우리나라 코스피 역사상 최대규모의 개인 순매수가 일어났습니다.
그 금액은 무려 4.5조 (4조4921억원)에 달하였습니다. 그러나 코스피는 보합권에서 마감하였습니다.
또한 사진에서 보듯이 21년1월12일 (작성일)에도 개인은 2조3천억을 순 매수하였습니다. 하지만 코스피는 0.7%하락하며 장이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금감원에서는 논문을 바탕으로 증시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단독] 금감원 "코스피 3300되면 과열" 이례적 증시보고서
증시진단 내부 보고서 확인 11일 코스피 급등후 약보합 금감원 참고논문 "3년내 글로벌 금융위기 가능성 40%"
www.mk.co.kr
금감원은 지난해 8월 로빈 그린우드, 새뮤얼 핸슨, 안드레이 슐라이퍼 하버드대 교수가 2020년 6월 발간한 `예측 가능한 금융 위기` 논문에 실린 거시경제 분석모형을 활용해 코스피 과열 수준을 측정했다. 그 결과 코스피가 3300선까지 오르면 버블(거품)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기사본문)
금감원 관계자는 "하버드대 교수들이 지난해 6월 발간한 논문에 나온 모형에 지난해 6월 말 기준 데이터를 적용한 결과 코스피 3300선이 과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해당 결과는 내부 임원들과 공유했다"고 말했다.
(기사본문)
편의상 기사본문의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위 기사에 해당하는 보고서에서는 코스피가 3300선이 과열 수준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2021년 1월11일 코스피는 장중 3266.23 포인트까지 상승합니다. 하지만 기관투자자의 매도물량에 의해 결국 3128 포인트에서 장 마감합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1월6일부터 1월11일까지 가파르게 상승한 것을 볼 수있습니다. 그리고 보고서에 나온 3300에 도달할듯 하자 코스피는 급 하락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3100포인트를 유지하고있는 상태 입니다.
이제 3300포인트를 넘으려면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 둘 중 한 곳에서라도 매수포지션으로 변경해야 할 것같습니다.

그리고 환율 또한 다시 1100선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코스피가 과열인건 가요?
그래서 그 버블이 붕괴되고있는 초기인가요? 아직까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 조정을 받고있는 것 그것이 사실입니다.
2. 투자자 예탁금 상태가!?
증시자금에 투입 될 수있는 자금을 알아보려면 투자자 예탁금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위 사진은 투자자예탁금과 신용융자 금액입니다.
투자자예탁금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의 매매, 그 밖의 거래와 관련하여 예탁받은 금전을 말한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신용융자
증권회사가 투자고객으로부터 일정한 증거금(신용거래보증금)을 받고 주식거래의 결제를 위해 매매대금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투자자 예탁금은 67조5천억 가량입니다. 이 말은 증시에 투입될 수있는 자금이 67.5조 라는 뜻입니다. (전부다 들어오지는 않겠지만요.)
그리고 신용융자 또 한 20조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신용융자는 결국 자기돈으로 주식을 매수한 것이 아니고 빌린 돈입니다. 더욱 무서운 것은 반대 매매로 인한 손실 및 증시 하락입니다.
반대매매
만기까지 대출금을 갚지 못하거나 담보가치가 일정 비율 이하로 떨어지면 대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로 주식을 처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장 시작시 하한가로 측정된 가격으로 매도주문이 들어간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반대매매로 장시작시 주식들이 하한가에 주문이 들어가게되면 증시는 당연히 하락하게 될 것이고 본인의 돈보다 더많은 돈 (레버리지) 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원금손실도 날 수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신용거래는 신중하게 하여야 합니다. 미수도 마찬가지고요
투자자 예탁금만을 보았을 때 아직 개인들이 더 매수 할 수있는 여력이 있다라고 판단은 되지만 저 돈이 모두 개인의 것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조심 그리고 또 조심하면서 거래를 해야 할 것 입니다.
3. 공매도 부활 !?
20년3월15일 부터 공매도 금지가 시행됐는데요. 기존 20년8월15일 종료에서 21년3월15일 종료로 다시 기간을 연장했었죠.

https://www.ytn.co.kr/_ln/0102_202101112038465628
금융위 "공매도 금지 3월 15일 종료 예정"
금융위원회가 오는 3월 주식 공매도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
www.ytn.co.kr
하지만 공매도 금지가 올해 3월15일 종료하게 되었습니다. 한 차례 연장이 되었지만 결국 시장의 과열 우려 때문인지 공매도가 다시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공매도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이나 채권을 판 후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해당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면 되기 때문에, 약세장이 예상되는 경우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올 3월 공매도 금지가 종료되면서 증시에 조정이 오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해야 할 것같습니다.
하지만 조정도 유기농 조정이 있듯이 건강한 조정 후 상승 할 수도있습니다.
또한 공매도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주식을 빌려주어 수익을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을 빌린뒤 갚지 않게되면 대차잔고라는 지표가 상승하게됩니다.
대차잔고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은 물량. 이 잔고를 청산하기 위해서 (쇼트 커버)는 보유한 물량으로 되갚거나 매도했다면 판 수량만큼 다시 사야한다. 공매도 대기자금 성격인 대차 잔액이 늘어나면 그만큼 앞으로 증시가 하락할 것으로 보는 투자자가 많다는 뜻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4. 미국 금리인상 !?
21년 1월 11일 밤 미국 대형주들이 크게 하락하였는데요

그리고 나스닥,다우,S&P 전부 하락을 하였습니다.

그중 나스닥이 -1.25%로 가장 많은 하락을 하였네요.
또한 S&P 500 테크기업중 테슬라가 많은 하락을 하였습니다.
테슬라(TSLA)는 무려 -7.87% 약 8%가 하락하였습니다.
이렇게 주요 지수와 기업들이 하락한 수 많은 이유 중 하나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가능성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습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1121597i
무섭게 뛰는 美국채 금리…주식·비트코인 붕괴 신호탄?
무섭게 뛰는 美국채 금리…주식·비트코인 붕괴 신호탄?, 미 국채 10년물 금리, 작년 3월 이후 최고 장·단기 금리차는 3년 6개월 만에 최대 투자자 엘에리언 "위험 자산엔 큰 도전"
www.hankyung.com
현재 미국채 금리가 무섭게 상승하고 있고 미국주식과 비트코인은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1년1월초 4500만원 까지갔던 비트코인도 현재 3800만원~3900만원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일단 연준의 금리인상의 내용은 보이지 않고있습니다.
다만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22년 하반기에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다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5. 결론
금감원에서는 코스피가 3300이 과열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개인들을 꾸준한 매수가 진행되고있습니다.
또한 3월 15일까지 공매도가 금지되어있고 투자자예탁금을 확인한 결과 풍푸한 유동성이 있습니다.
우려하던 금리인상은 아직까지 발표가 안 되었구요. 미국 국채의 금리가 상승하고있는게 지금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직 풍부한 요동성과 공매도 금지로 인하여 당분간은 상승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주식 챌린지 > 한국 증권시장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최태원 회장 이혼 소송 결과 발표 후 급등!! (0) | 2024.05.30 |
---|---|
21년 2월 첫째 주 증시 상황 코스피 및 코스닥 삼봉 코로나 폭락 데자뷰? (2) | 2021.02.04 |
코스피 폭락 중 21년 1월 시장 상황 (2) | 2021.01.31 |
코스피 개인 4조매수 역부족?... 폭락 코로나사태 재발? (8)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