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챌린지/한국 증권시장 시황

증시과열 코스피 버블 붕괴되나? (feat. 공매도 재개)

by 범스기릿 2021. 1. 12.
728x90
반응형

1. 금감원의 증시과열 보고서?

 

출처:구글

 

21년1월11일 부터 12일까지 2일 연속 개인의 엄청난 자금 투입에도 증시는 하락하였습니다..

 

21.1.12 코스피 주체

 

21년1월11일 우리나라 코스피 역사상 최대규모의 개인 순매수가 일어났습니다.

그 금액은 무려 4.5조 (4조4921억원)에 달하였습니다. 그러나 코스피는 보합권에서 마감하였습니다.

또한 사진에서 보듯이 21년1월12일 (작성일)에도 개인은 2조3천억을 순 매수하였습니다. 하지만 코스피는 0.7%하락하며 장이 끝나게 됩니다.

 

 

출처:매일경제

 

그리고 금감원에서는 논문을 바탕으로 증시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단독] 금감원 "코스피 3300되면 과열" 이례적 증시보고서

증시진단 내부 보고서 확인 11일 코스피 급등후 약보합 금감원 참고논문 "3년내 글로벌 금융위기 가능성 40%"

www.mk.co.kr

 

금감원은 지난해 8월 로빈 그린우드, 새뮤얼 핸슨, 안드레이 슐라이퍼 하버드대 교수가 2020년 6월 발간한 `예측 가능한 금융 위기` 논문에 실린 거시경제 분석모형을 활용해 코스피 과열 수준을 측정했다. 그 결과 코스피가 3300선까지 오르면 버블(거품)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기사본문)
금감원 관계자는 "하버드대 교수들이 지난해 6월 발간한 논문에 나온 모형에 지난해 6월 말 기준 데이터를 적용한 결과 코스피 3300선이 과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해당 결과는 내부 임원들과 공유했다"고 말했다.
(기사본문)

편의상 기사본문의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위 기사에 해당하는 보고서에서는 코스피가 3300선이 과열 수준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2021년 1월11일 코스피는 장중 3266.23 포인트까지 상승합니다. 하지만 기관투자자의 매도물량에 의해 결국 3128 포인트에서 장 마감합니다.

 

 

장중 3,266.23 포인트까지 올라간 코스피

 

 

위 그래프를 보면 1월6일부터 1월11일까지 가파르게 상승한 것을 볼 수있습니다. 그리고 보고서에 나온 3300에 도달할듯 하자 코스피는 급 하락을 하게 됩니다.

 

 

3,266 포인트를 도달하고 하락하는 코스피

 

 

하지만 현재까지는 3100포인트를 유지하고있는 상태 입니다.

이제 3300포인트를 넘으려면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 둘 중 한 곳에서라도 매수포지션으로 변경해야 할 것같습니다. 

 

원달러 환율 출처:네이버

 

그리고 환율 또한 다시 1100선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코스피가 과열인건 가요?

그래서 그 버블이 붕괴되고있는 초기인가요? 아직까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 조정을 받고있는 것 그것이 사실입니다.

2. 투자자 예탁금 상태가!?

증시자금에 투입 될 수있는 자금을 알아보려면 투자자 예탁금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출처: 금융투자협회

 

 

위 사진은 투자자예탁금과 신용융자 금액입니다.

투자자예탁금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의 매매, 그 밖의 거래와 관련하여 예탁받은 금전을 말한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신용융자 
증권회사가 투자고객으로부터 일정한 증거금(신용거래보증금)을 받고 주식거래의 결제를 위해 매매대금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투자자 예탁금은 67조5천억 가량입니다. 이 말은 증시에 투입될 수있는 자금이 67.5조 라는 뜻입니다. (전부다 들어오지는 않겠지만요.)

그리고 신용융자 또 한 20조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신용융자는 결국 자기돈으로 주식을 매수한 것이 아니고 빌린 돈입니다. 더욱 무서운 것은 반대 매매로 인한 손실 및 증시 하락입니다.

반대매매 
만기까지 대출금을 갚지 못하거나 담보가치가 일정 비율 이하로 떨어지면 대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로 주식을 처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장 시작시 하한가로 측정된 가격으로 매도주문이 들어간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반대매매로 장시작시 주식들이 하한가에 주문이 들어가게되면 증시는 당연히 하락하게 될 것이고 본인의 돈보다 더많은 돈 (레버리지) 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원금손실도 날 수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신용거래는 신중하게 하여야 합니다. 미수도 마찬가지고요

투자자 예탁금만을 보았을 때 아직 개인들이 더 매수 할 수있는 여력이 있다라고 판단은 되지만 저 돈이 모두 개인의 것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조심 그리고 또 조심하면서 거래를 해야 할 것 입니다.

3. 공매도 부활 !?

20년3월15일 부터 공매도 금지가 시행됐는데요. 기존 20년8월15일 종료에서 21년3월15일 종료로 다시 기간을 연장했었죠.

 

 

출처: news1

 

 

 

https://www.ytn.co.kr/_ln/0102_202101112038465628

금융위 "공매도 금지 3월 15일 종료 예정"

금융위원회가 오는 3월 주식 공매도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

www.ytn.co.kr

하지만 공매도 금지가 올해 3월15일 종료하게 되었습니다. 한 차례 연장이 되었지만 결국 시장의 과열 우려 때문인지 공매도가 다시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공매도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이나 채권을 판 후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해당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면 되기 때문에, 약세장이 예상되는 경우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올 3월 공매도 금지가 종료되면서 증시에 조정이 오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해야 할 것같습니다.

하지만 조정도 유기농 조정이 있듯이 건강한 조정 후 상승 할 수도있습니다. 

또한 공매도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주식을 빌려주어 수익을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을 빌린뒤 갚지 않게되면 대차잔고라는 지표가 상승하게됩니다.

대차잔고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은 물량. 이 잔고를 청산하기 위해서 (쇼트 커버)는 보유한 물량으로 되갚거나 매도했다면 판 수량만큼 다시 사야한다. 공매도 대기자금 성격인 대차 잔액이 늘어나면 그만큼 앞으로 증시가 하락할 것으로 보는 투자자가 많다는 뜻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4. 미국 금리인상 !?

21년 1월 11일 밤 미국 대형주들이 크게 하락하였는데요

 

 

출처:finviz

 

 

그리고 나스닥,다우,S&P 전부 하락을 하였습니다.

 

 

출처:finviz

 

 

그중 나스닥이 -1.25%로 가장 많은 하락을 하였네요.

또한 S&P 500 테크기업중 테슬라가 많은 하락을 하였습니다.

테슬라(TSLA)는 무려 -7.87% 약 8%가 하락하였습니다. 

이렇게 주요 지수와 기업들이 하락한 수 많은 이유 중 하나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가능성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습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1121597i

무섭게 뛰는 美국채 금리…주식·비트코인 붕괴 신호탄?

무섭게 뛰는 美국채 금리…주식·비트코인 붕괴 신호탄?, 미 국채 10년물 금리, 작년 3월 이후 최고 장·단기 금리차는 3년 6개월 만에 최대 투자자 엘에리언 "위험 자산엔 큰 도전"

www.hankyung.com

현재 미국채 금리가 무섭게 상승하고 있고 미국주식과 비트코인은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1.01.12 비트코인시세 출처:빗썸

 

 

21년1월초 4500만원 까지갔던 비트코인도 현재 3800만원~3900만원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일단 연준의 금리인상의 내용은 보이지 않고있습니다.

다만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22년 하반기에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다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5. 결론

금감원에서는 코스피가 3300이 과열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개인들을 꾸준한 매수가 진행되고있습니다.
또한 3월 15일까지 공매도가 금지되어있고 투자자예탁금을 확인한 결과 풍푸한 유동성이 있습니다.
우려하던 금리인상은 아직까지 발표가 안 되었구요. 미국 국채의 금리가 상승하고있는게 지금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직 풍부한 요동성과 공매도 금지로 인하여 당분간은 상승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