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연로입니다.
21년 1월 31일 벌써 1월의 마지막날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21년 1월 시장 상황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크게 코스피, 코스닥, 환율, 해외시장 4분류로 정해보았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통해 서로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겠습니다.
1. 코스피 1월 분석
(가) 차트
먼저 코스피 1월달 차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20년 12월 30일 20년의 마지막 거래일부터 1월 29일 1월 마지막 거래일 까지의 차트입니다.
20년 12월 2809의 저점을 기록하고 1월초 코스피는 3266이라는 역사적 최고치를 달성하였습니다.
(물론 앞으로는 더욱 상승하고 나스닥 다우 S&P 처럼 우상향 할 수있습니다)
그러나 3266을 기점으로 수많은 부정적인 리포트들과 기관 및 외국인의 매도세로인하여
흔히 말하는 박스피가 형성 되었습니다.
(박스구간은 3000-3200 이었는데 1월29일 3천이 뚫렸습니다.)
그리고 그 박스피를 형성하는중 투자자에 동향이 너무나도 명확했습니다.
(나) 투자자별 매매동향

위 사진은 1월 한달간 개인, 기관, 외국인의 매수,매도 금액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개인은 1월중 5거래일만 매도 포지션을 취하였습니다.
그에 반해 기관투자자들은 3거래일만 매수 포지션을 취하였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12거래일 매도 8거래일 매수 포지션으로 매도에 가까운 포지션을 취하였습니다.

그리고 12월30일 부터 1월31일까지 투자자들의 매수,매도 금액의 총 합계는
개인이 21조8천억을 매수 외국인이 5조를 매도 기관이 17조1천억을 매도 하였습니다.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부분은 개인투자자들은 증시가 떨어지든 말든 우상향 한다는 생각 하나로
매수를 하고있고 외국인들은 아직까지는 크게 우리나라 시장에 들어올 생각은 없어보입니다.
마지막 기관투자자들은 펀드의 환매때문에 매도를 하는건지 아니면 증시의 과열을 막기위해 매도를 하는건지
정확히 판단하기 힘들지만 개인들의 자금을 가지고 지금까지 오른 증시만큼의 수익을 벌고 있는중입니다.
(20년도 한해동안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그 상승분을 매도함으로써 수익을 많이 챙기는 중이다)
(다) 투자자 예탁금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한 투자자 예탁금입니다.
12월31일 65조로 시작했던 예탁금은 1월12일 74조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그 이후 1월28일까지 68조로 감소하게됩니다.
더욱 재미있는부분은 1월 12일 74조가 되었던 예탁금이 1월 11일 개인투자자가 4조를 매수한 그 지점 입니다.
아직까지는 시장으로 유입될 수있는 현금이 많이 있다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저 투자금들이 전부 들어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전부 들어온다해도 금방 빠져나갈 수 있는 현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자 예탁금을 너무 믿어서도 안됩니다.
(라) 신용거래

위 사진은 금융투자협회에서 발최한 신용거래융자 대금추이입니다.
1월 25일 21조6천억으로 올라있던 신용거래 대금이 1월28일 21조2천억으로 떨어지게됩니다.
아마 시장이 조정받는중 레버리지를 떙기는게 위험하다고 판단한 몇몇 사람들이 매도를 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아직 21조라는 신용대금이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신용거래는 담보금을 채우지 못하면 자동으로 반대매매에 들어가기 때문에
증시에 급격한 하락이 온다면 저 물량들이 나오는 것도 생각을 해 보아야합니다.
2. 코스닥 1월 분석
(가) 차트

역시 한국시장은 뭐니뭐니해도 첫 번째로 봐야하는게 차트겠죠?
그래서 저도 차트를 먼저 가지고 왔습니다.
12월 30일 960정도 하던 코스닥은 1월 중순 940 까지 떨어지고
1월 말에 1007을 기록하며 곤두박질 떨어지게 됩니다.
차트를 보아선 쌍봉으로 보이지만 아직 쌍바닥 일 가능성도 충분히 보입니다.
그리고 전형적인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데요
현재 900-1000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하고있습니다.
불안 하신분들은 박스매매를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나) 투자자 매매동향

코스닥시장의 1월4일 부터 1월 29일까지 투자자들의 매매 동향을 살펴보았습니다.
코스피와 비슷한 동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개인은 3거래일 빼고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 반대로 기관투자자들은 3거래일 빼고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네요
마지막 외국인 투자자들은 8거래일 매수 12거래일 매도 포지션입니다.
코스피와 완전 판박이죠?
요즘은 코스피와 코스닥이 완전 커플링되어 같이 움직이는것 같아요!!

이 사진은 20년12월30일 부터 21년 1월 31일 까지 누적 거래현황을 가지고 왔습니다.
개인은 3조6천억원을 순 매수 하였고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는 각 6800억 2조2천억을 순 매도하였습니다.
확실히 기관 외국인들은 현재까지 많이 오른 증시를 통하여 시세차익에 들어간 것을 보입니다.
(물론 펀드 환매도 일부 있을거 같긴 해요!)
그렇기 때문에 역시나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언제나 박스피 잖아요!! 박스매매도 나름의 매력이 있다 생각합니다. 하하하
3. 환율

이제 환율을 살펴보겠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월 4일 1087원 까지 떨어지게 됩니다.
이 수치는 2018년 원달러 환율까지 내려간 수치입니다.
그러나 1월4일 이후로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그리고 1월30일 1118원으로 원달러 환율은 1월 마감을 하였습니다.
환율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최근들어 가장 큰 이유는
외국인들의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우리나라 외환정책도 잘 하고있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미국 헤지펀드대상으로 개인투자자들의 혁명을 시도하는 GME 공매도 사태가
터지고 있는 지금 해외 투자자들이 자금 확보를 위해 한국시장자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우리나라는 ATM 입니다.

20년 3월에도 급격하게 미국 증시가 하락하였죠.
그 때도 떨어진 미국 증시에 자금을 투입하기 위해 우리나라 주식들을 시장가로 매도하고
환전을 하는 사태가 벌어졌었죠.
그당시 환율은 1300원 가까이 올랐고 증시는 코스피가 1400 코스닥이 350정도 까지 떨어졌습니다.

제 생각에는 현재 환율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하는 추세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예전처럼 환율이 1150원~1200원 사이에 머무르겠죠.
그래야 수출을 통해서도 이익을 많이 얻을 수 있으니까요!
4. 해외시장
먼제 해외시장이라고 해서 전세계의 시장 전부를 다루지는 않을 것이고
미국 시장을 중점으로 볼 것입니다.
(가) 나스닥
1월 한달간 나스닥을 먼저 살펴보죠

나스닥은 1월 5일 12600에 저점을 생성합니다. 하지만 그 이후 꾸준히 상승하며 1월 말에는
13500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헤지펀드가 공매도를 엄청 많이한 GME(게임스탁)이라는 회사를 기점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REDDIT 이라는 커뮤니티를 통해 단합하여 헤지펀드 죽이기에 나섭니다.

아직까지도 전세계 사람들은 이 사태에 엄청난 관심을 가지고 있고
미 당국 또한 사태에 심각성을 알고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이 사태들을 통해 증시의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S&P
최근에들어서 s&p중 가장큰 이슈는 테슬라의 편입일 것입니다.
12월20일날 테슬라는 s&p에 편입되었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핫한 기업입니다.

테슬라는 500달러 쯤 편입이 되고 900달러를 찍고
서서히 조정을 받고있는 모습이군요
이번 실적발표도 최대매출을 달성하고 분위기는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그리고 s&p 한달 차트를 살펴보면
저점은 3650부근이고 고점은 3870정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차트모양이 변동성이 심하다는걸 보여주곴네요.
양봉 음봉의 길이가 길고 아래꼬리 위꼬리도 자주보입니다.
확실히 요즘 장세가 많이 불안하나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또 보아야할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VIX 지수이죠!
(3)S&P VIX
요즘 변동성을 확인하는 최고의 지표는 당연히 빅스 지수인것 같습니다.
VIX지수는 Volatility Index 의 줄임말입니다.
그리고 S&P 지수의 30일간 선물 옵션의 향후 30일 후에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죠
즉 1월 현재기준 2월 선물의 가격이 갑자기 폭락하면
빅스지수는 상승 하게되는거죠!
이제 2월이 되었으니 3월 선물 지수에 따라 움직이게 되겠죠?

빅스지수의 차트 또한 gme 사태를 기접으로 작전주가와 비슷한 차트로 변하고 있습니다.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을 주고받으면서
현재 시장이 얼마나 불안정한지 잘 나타내 주고있습니다.
5. 종합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은 쌍봉vs 쌍바닥의 갈림길 인것 같습니다.
여기서 오르면 쌍바닥 찍고 진짜 3500을 향해 나가는 것이지요.
하지만 쌍봉을 찍게된다면 2600을 보고 다시 박스를
형성 할것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자금력은 한계가 있고 기관투자자들은 최근 이익실현 자금 이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폭락장이 온다면 야금야금 주워나갈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금비중을 높이면서 좋은 기업을 많이 알아보는게 중요한 때 인것같습니다.
그리고 해외시장또한 불안한 상황인건 매한가지이니
환차익을 보는것 또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같이 변동성이 커진 시장 대응이 가장중요합니다.
항상 현금비중을 20프로정도눈 보유하면서
폭락이 올때마다 주워나간다면 작년처럼 좋은 결실을 맺는 한 해가 될것같습니다.
21년 1월도 다 끝났네요.
다들 성투하시고 행복하세요~
'한국주식 챌린지 > 한국 증권시장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최태원 회장 이혼 소송 결과 발표 후 급등!! (0) | 2024.05.30 |
---|---|
21년 2월 첫째 주 증시 상황 코스피 및 코스닥 삼봉 코로나 폭락 데자뷰? (2) | 2021.02.04 |
증시과열 코스피 버블 붕괴되나? (feat. 공매도 재개) (12) | 2021.01.12 |
코스피 개인 4조매수 역부족?... 폭락 코로나사태 재발? (8) | 2021.01.11 |